AWS Whiteboard - PoC를 거치면서 한 Serverless 내용 정리
3 tier Architecture https://www.techiexpert.com/serverless-multi-tier-architecture-on-aws/
⏯ Lambda로 게시판 서버 API 생성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x0iyaENTxU0
Lambda & Gateway 시작 및 연결 https://gun0912.tistory.com/60
Serverless - SQL/NoSQL https://blog.thundra.io/which-database-should-i-choose-for-my-serverless-applications
dynamoDB https://www.slideshare.net/awskorea/aws-database-hands-on-lab-aws-gaming-on-aws-2018
lambda - gateway - dynamodb https://medium.com/@yumenohosi/aws-lambda-api-gateway-dynamodb-node-js-%EC%82%AC%EC%9A%A9%EA%B8%B0-%EC%82%BD%EC%A7%88%EA%B8%B0-b5352e00b396
serverless 배포 https://velopert.com/3577
(Azure) 고려 사항 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dotnet/architecture/serverless/serverless-design-examples
Lambda - RDS 연결 https://base-on.tistory.com/73
Serverless 프레임 워크 https://ndb796.tistory.com/311?category=1045560 --> 나동빈 블로그
serverless Framework https://novemberde.github.io/aws/2017/08/14/Serverless.html
3 tier Architecture https://www.techiexpert.com/serverless-multi-tier-architecture-on-aws/
⏯ Lambda로 게시판 서버 API 생성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x0iyaENTxU0
Lambda & Gateway 시작 및 연결 https://gun0912.tistory.com/60
Serverless - SQL/NoSQL https://blog.thundra.io/which-database-should-i-choose-for-my-serverless-applications
dynamoDB https://www.slideshare.net/awskorea/aws-database-hands-on-lab-aws-gaming-on-aws-2018
lambda - gateway - dynamodb https://medium.com/@yumenohosi/aws-lambda-api-gateway-dynamodb-node-js-%EC%82%AC%EC%9A%A9%EA%B8%B0-%EC%82%BD%EC%A7%88%EA%B8%B0-b5352e00b396
serverless 배포 https://velopert.com/3577
(Azure) 고려 사항 https://docs.microsoft.com/ko-kr/dotnet/architecture/serverless/serverless-design-examples
Lambda - RDS 연결 https://base-on.tistory.com/73
Serverless 프레임 워크 https://ndb796.tistory.com/311?category=1045560 --> 나동빈 블로그
serverless Framework https://novemberde.github.io/aws/2017/08/14/Serverless.html
Serverless 란?
https://brunch.co.kr/@yesjun/3
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는 것
- Function as a Service (FaaS): 무상태 함수가 서버 측 로직을 포함
ex) AWS 람다 - Backend as a Service (BaaS): 서드파티 서비스를 로직 처리 단계에서 사용
ex) SPA,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
Whiteboard
⚠ Data tier에서 AWS Aurora나 DynamoDB 중 하나를 선택해서 쓴다. 그림을 저렇게 그린 이유는 두 개의 차이점을 나타내기 위해 그려두었다.
1. AWS Lambda
-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하지 않고 코드를 실행하게 해주는 컴퓨팅 서비스
- Function as a Service (FaaS)
즉, 오로지 코드만으로 서버를 실행 할 수 있다는 것이다. 사용자는 자신이 익숙한 언어로 실행하고 싶은 내용을 채우면 해당 함수를 실행시킬 수 있다. 개발자는 복잡한 서버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.
서버리스의 핵심 기능이다.
AWS Lambda 생성 방법
생성 방법도 매우 간단하다. 개발자는 자신의 백엔드 코드만 적어넣으면 된다.
1. AWS에 로그인 > Lambda
2. 함수 생성
3. 함수 이름 및 사용 언어 선택
- 대부분 Node.js나 Python을 사용한다.
4. 함수 생성
추가적으로 청사진을 이용하고 싶으면 블루프린트 사용을 눌러서 원하는 청사진으로 함수를 생성하면 된다.
관련 글 목록
'IT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File System - EFS, FSx (0) | 2021.01.28 |
---|---|
Serverless with AWS Lambda (2) - 코드 (0) | 2021.01.26 |
AWS Python 연결 - Boto3 (1) | 2021.01.25 |
AWS Storage 종류 (0) | 2021.01.20 |
AWS Network 종류 (0) | 2021.0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