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SMALL IT/CS40 [Web] Rest란? 참고: gmlwjd9405.github.io/2018/09/21/rest-and-restful.html Rest API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> HTTP 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 ▶ 자원(Resource) 명시 > HTTP Method(GET, POST, PUT, DELETE) ▶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 적용 REST 구성요소 - 자원(Resource): URI - 행위(Verb): HTTP Method - 표현(Representation of Resource): Client ▶ Server 요청 시 Server에서 응답을 보냄 RESTAPI - REST 아키텍처의 제약 조건을 준수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.. 2021. 4. 13. [Java] Java란? Java 특징 1. 운영체제에 독립적 - JVM(자바 가상 머신): 자바 응용 프로그램 -> JVM -> 운영체제 > JVM이 명령어를 운영체제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 - JVM은 운영체제에 종속적 "Write once, run anywhere" 2. 객체지향언어 - 상속, 캡슐화, 다형성 3. 비교적 배우기 쉬움 4. 자동 메모리 관리(Garbage Colleciton, GC) - 프로그래머가 메모리 관리 할 필요가 없음 - 다소 비효율적일 수 있으나,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래밍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줌 5. 네트워크와 분산처리 지원 - Java API를 통해 짧은 시간에 네트워크 관련 프로그램을 쉽게 개발 할 수 있도록 지원 6. 멀티쓰레드 지원 - 시스템과 관계없이 구현 가능 - 관련된 라이브러리 .. 2021. 4. 12. [DB] MariaDB vs MySQL 차이점 MariaDB - MySQL이 오라클에 인수되면서 만들어진 오픈소스 RDBMS - MySQL과 완벽 호환 - 라이센스와 오라클로부터 자유로움 MySQL - 오라클에 인수되면서 라이센스 유료화 (학생 및 비상업용은 무료) 결론: MySQL이 유료화 되면서 라이센스에서 자유로운 100% 호환 가능한 DB = MariaDB 2021. 4. 12. [알고리즘] ArrayList vs LinkedList 알고리즘을 풀다보면 종종 ArrayList와 LinkedList를 어떻게 적재적소에 사용해야하는 지 고민하게 된다. ArrayList LinkedList 특징 배열 노드 삽입/삭제 시 Shift 연산 다음 노드의 위치를 저장 메모리 공간 연속적 비연속적 저장 순서 논리적 저장 순서 = 물리적 저장 순서 논리적 저장 순서 != 물리적 저장 순서 메모리 할당 정적 메모리 할당 동적 메모리 할당 Search O(1) O(n) Random Access Insert O(n) 맨 앞/뒤: O(1) 중간: O(n) > ArrayList Delete O(n) O(n) > ArrayList ArrayList - 삽입/삭제가 일어날 때는 Shift 연산으로 인해 시간이 더 걸리게 된다. - 데이터 삽입 시, 모든 공간이 .. 2021. 4. 5. 이전 1 ··· 4 5 6 7 다음 반응형 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