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SMALL

클린 아키텍처8

[Clean Architecture] 2부,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Clean Architecture 2부,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패러다임이란 - 프로그래밍을 하는 방법, 언어에 독립적 -어떤 프로그래밍 구조를 사용할 지, 언제 이 구조를 사용해야 하는 지 결정 3장, 패러다임 개요 3가지 패러다임: 구조적 프로그래밍, 객체지향 프로그래밍, 함수형 프로그래밍 구조적 프로그래밍 - 최초로 적용된 패러다임 - 무부별한 점프(goto문장)은 프로그램에 해로움 -> if/then/else, do/while/until 등 구조로 변경 - 제어 흐름의 직접적인 전환에 대해 규칙을 부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- 스택 프레임을 힙으로 옮기면 함수 호출이 반환된 이후에도 함수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가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음을 발견 -> 클래스의 생성자 - 지역 변수 = 인스턴스 변수, 중.. 2021. 11. 27.
[Clean Architecture] 1부, 소개 Clean Architecture 1장, 설계와 아키텍처 좋은 설계란?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목표는 필요한 시스템을 만들고 유지보수 하는 데 투입 인력을 최소화 하는 것에 있다. - 생산성은 낮아지고, 비용을 올라가면 좋지 않은 아키텍처 - 엉망진창인 코드가 쌓이면 결국 생산성은 0으로 수렴 - 자신을 과시하면 재설계 해도 원래 프로젝트와 똑같이 엉망으로 됨 > 재설계가 좋은 방향은 아니다. 그래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- 과신을 미리 방지해서 소프트웨어 품질을 고민해야 한다. - 비용은 최소화하고 생산성은 최대화하는 아키텍처란 2장, 두 가지 가치에 대한 이야기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반드시 높게 가치를 유지해야 하는 것: 행위, 구조 행위 - 기계가 수익을 창출하거나 비용을 절약하도록 만들기 위해서 소프.. 2021. 11. 27.
반응형
LIST